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의 준말이며, 데이터 센터를 구축하는 대신 클라우드를 이용해 원하는 컴퓨팅 인프라를 사용하도록 비용 절감을 도와주는 서비스입니다.
PaaS : Platform as a Service 의 준말이며, DAPP 개발에 필요한 블록체인 프로토콜 환경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SaaS형 BaaS : SaaS는 Software as a Service 의 준말이며, 블록체인을 서비스에 빠르게 도입할 수 있도록 Web3 개발 지식 없이 블록체인 적용이 가능한 API 제공, 마우스만으로 토큰 발행 및 관리가 가능한 GUI, 안전하면서 편리한 프라이빗 키 관리, 거래내역 조회 환경 등 블록체인 개발에 필요한 다양한 서비스를 함께 제공합니다.
Global 3대 BaaS 기업
1. AWS
2. IBM
3. Luniverse
기능 분석
Cloud Based Infra
Hyperledger Fabric
IDE
REST API
GUI
Multi Chain / protocol
3개 기업 모두 Hyperledger Fabric을 지원하고 있지만, 추가로 다른 메인넷을 제공하는 기업은 Luniverse와 AWS입니다. 두 기업은 스마트 컨트랙트로 유명한 이더리움 메인넷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현존하는 디지털 자산 중 가장 많은 디앱이 운영되고 있으며, 활발하게 개발되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많은 디앱이 운영되면서 높은 가스비와 거래 처리 속도가 느려진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발생했는데요. Luniverse는 Sidechain을 통해 이더리움의 단점을 보완하여 거래 속도 및 높은 가스비 등의 단점을 보완한 자체 메인넷을 구축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실제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도입하는데 최적화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IBM : Hyperledger Fabric
AWS : Hyperledger Fabric, Ethereum(private)
Luniverse : Hyperledger Fabric, Ethereum(public mainnet, private), Luniverse Mainchain
Side Chain
PKMS(Private Key Management Service)
NFT(Non-Fungible Token)
DID(Decentralized Identifier)
DID는 탈중앙화 되어있는 신원 식별자 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신원 식별자는 중앙화된 기관에 로그인할때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러한 정보들을 중앙화된 데이터베이스가 아닌 블록체인 장부에 기록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이 DID입니다. 이를 통해 개인정보를 스스로 관리하고 필요 시 선택적으로 기관에 제출할 수 있는 자기주권 시대를 가능하게 합니다. 세 개업 중 Luniverse만 DID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Luniverse는 국내 1위 여가 플랫폼 기업 야놀자와 함께 전세계 25,000여개의 호텔에 Luniverse DID 를 적용할 계획입니다. Luniverse DID가 궁금하시다면 여기를 클릭해주세요.
마치며
내용을 요약하자면 기존 IaaS를 대표하는 기업 AWS, PaaS를 대표하는 IBM, SaaS형 BaaS를 대표하는 Luniverse의 제품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기능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습니다. 분명 기업의 상황에 따라 필요로 하는 제품이 다를 것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비교하셔서 블록체인을 도입하시기 바랍니다.
루니버스의 도움이 필요하시면 언제든지 support@lambda256.io로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