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루니버스 비공개 데이터 최초 공개

blockchain_raw_data

루니버스의 탄생 배경

루니버스 개발사인 람다256은 두나무의 “블록체인 기술 연구소”에서 출발하였습니다. 두나무에서 글로벌 거래소 업비트를 출범한 이후, 수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탄생하고 소멸하는 것을 지켜보았습니다. 그리고 그 안에서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이 겪고 있는 문제를 발견하였는데요. 당시 발견한 대표적인 문제를 나열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높은 Gas Fee와 느린 TPS

– Web3 개발자 부재

– 낮은 사용성으로 인한 유저 이탈

위 문제들은 블록체인을 활용하는 기업에게 치명적인 이슈였습니다. 람다256은 위 문제를 해결하고 블록체인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기 위해 두나무에서 분사하여 2019년 3월 루니버스 BaaS(Blochain as a Service)를 출시하게 되었습니다.

현재의 루니버스

루니버스 출시 후 1년이 지난 지금, 루니버스 메인넷과 사이드 체인을 중심으로 DID와 Point 등 다양한 BaaS 제품을 시장에 제공하고 있으며, 기업의 성장 가능성을 인정받아 80억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도 성공하는 등 명실상부한 Asia No.1 BaaS 서비스로 거듭나고 있습니다.
현재는 1300명이 넘는 기업 고객을 보유했으며, 루니버스 체인에 64개의 활성화된 토큰들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람다256은 루니버스의 방향성을 위해 루니버스가 블록체인 시장 활성화에 얼마나 유의미한 성과를 내었는지 데이터를 통해 분석하는 과정이 필요했습니다. 저희는 고민 끝에 지금까지의 데이터들을 공개하여 블록체인 산업에 유의미한 내용들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아래 데이터의 일부는 루니버스 기반 토큰의 transaction을 조회할 수 있는 루니버스 Scan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blockchain_raw_data
참고로 루니버스 체인 TX은 Main Chain TX와 Side Chain TX로 구분됩니다. 상기 스캔에 표시된 숫자는 Main Chain TX만을 보여주기 때문에 향후 이야기할 전체 트랜잭션 수와 차이가 있는 점 인지해 주시기 바랍니다.
데이터 수집 기간 : 2019년 5월 ~ 2020년 7월
[생태계 지표]

– 기업 고객 수 : 1,225

– total sidechain : 138
– 전체 Dapp 수 : 832
– 전체 토큰 수 : 762 *루니버스는 Main Chain 위에서 발행한 토큰과, 사용성 개선을 위해 Side Chain위에서 발행한 토큰이 공존하며, 이를 합한 수치입니다.
– 활성화된 토큰 수 : 63
암호화폐의 가격에 따라 변동하는 거래 시장 열기와 다르게 루니버스의 지표는 오픈 시점부터 현재까지 아주 큰 변동 폭 없이 꾸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1200명이라는 가입 인원이 절대 높지는 않지만, 블록체인 도입에 관심이 있는 기업 고객이라는 점을 보았을때 유의미한 성과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루니버스가 제공하는 핵심 솔루션은 Side Chain입니다. 기업 고객이 고객 증가하며 자연스럽게 side chain 제공 량과 기존 앱에 블록체인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Dapp, 전체 토큰 수, 활성화된 토큰 들이 함께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루니버스는 출시 당시 Side Chain 솔루션에 집중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고객이 증가하며 블록체인을 적용하고자 하는 니즈도 세분화되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점을 인지하고 로열티 포인트, 분산 신원 증명(DID), 스테이블 코인, 공유형 체인 등 제품 형태를 다양하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기술 지표]

– 루니버스 전체 블록 수 : 36,624,232

– 전체 트랜잭션 : 9,129,521 *Main chain + Side chain 합계 수치
– 전체 키 관리 EOA(REOA) : 405,229 *루니버스가 Private Key를 관리하는 EOA
– 평균 블록 타임 : 1.04
– 커스텀 컨트랙트 수 : 2016
– 체인 사고 발생 건 수 : 0
평균 블록 생성 타임은 1.04이며 이에 따른 전제 블록 생성 수는 3600만 건을 돌파하였습니다. 또한 메인 체인과 사이드 체인에서 발행하는 트랜잭션을 모두 합한 수는 900만 건을 넘어섰습니다. 이런 24시간 돌아가는 라이브 체인을 운영하다 보면 크고 작은 운영 이슈로 인해 사고가 발생하는 것이 당연한 일입니다. 그러나 루니버스 체인은 출발 이후로부터 지금까지 한 번의 사고 없이 체인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람다256의 모든 임직원들은 안정적인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 인프라로서 루니버스가 차지하는 중요성을 너무도 잘 인지하고 있기에 그 어떤 지표보다도 무장애 운영의 훈장을 가장 의미 있고 중요한 성과로 받아들이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전 세계 개발자들이 체인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하고 쾌적한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루니버스의 강점을 뽑아보면 고객이 기본적인 블록체인 개발을 루니버스에서 제공하는 API로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고객사와 고객사가 보유한 실제 유저들의 EOA Private Key를 루니버스가 안전하게 관리해 주는 REOA 서비스 또한 루니버스에서 제공하는 API를 활용한 기능입니다. 이 기능들이 2019년 말에서 2020년으로 접어들며 이용 수치가 크게 증가하였는데요. TX API는 1.7배, REOA는 3.6배 증가하였습니다. 블록체인 산업의 발전을 위해 꼭 필요한 것은 Private Key 분실 위험을 줄이는 것입니다. 특히 블록체인을 잘 알지 못하는 유저들에게는 EOA의 개념조차 생소한 영역이기 때문에 디앱 개발사에서는 이러한 부분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루니버스

지금까지의 루니버스를 점검하고 더 좋은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한 리뷰 시간이었습니다. 블록체인 산업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좋은 제품, 다양한 제품, 그리고 합리적인 가격 정책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루니버스는 이를 충분히 인지하고 현재 합리적인 가격 정책을 운영하고 있으며, 앞으로 분산 신원 증명(DID), 로열티 포인트 얼라이언스, 스테이블 코인, 공유형 체인 등 다양하고 좋은 제품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블록체인 도입을 고민 중이신 기업은 어떠한 어려움이 있더라도 도움드리고 있으니, 언제든지 주저 없이 문의해 주시기 바랍니다.

루니버스의 발자국

18.05 : Lambda256 설립 18.09 : UDC2018에서 Luniverse 최초 공개
18.09 : UDC2018에서 Luniverse 최초 공개
19.03 : Lambda256 분사, Luniverse Pre-open 서비스 진행
19.05 : Luniverse 블록체인 서비스 정식 오픈
19.07 : Luniverse Scan 오픈
19.12 : AWS Re:Invent 발표
20.02 : Luniverse DROPS 출시
20.03 : Luniverse Hyperledger Fabric 정식 출시
20.04 : Luniverse 서비스사이트 2.0 오픈
20.06 : 80억 규모 시리즈A 투자 유치
20.07 : 기업 고객 1,200명 돌파

블록체인 또는 루니버스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싶다면?

람다256은 각종 협력이나 파트너십, 일반적인 문의를 환영합니다.
NOW

루니버스 주요 아티클 소식을 가장 먼저 접하고 싶다면?

Share your blockchain-related digital insights with your friends

Facebook
Twitter
LinkedIn

Get more insights

NFTfi는 무엇일까?(ERC 4907)

Danksharding is an improved version of Ethereum’s sharding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techniques that greatly increase transaction capacity and reduce gas fees in Ethreum 2.0 upgrade. To help you understand what Danksharding is, let’s first take a look at Ethereum's scalability strategy, which aims to increase network performance and ensure scalability.

루니버스 NOVA 업데이트 – Web3 개발자를 위한 멀티체인 API 오픈!

Danksharding is an improved version of Ethereum’s sharding technology, which is one of the techniques that greatly increase transaction capacity and reduce gas fees in Ethreum 2.0 upgrade. To help you understand what Danksharding is, let’s first take a look at Ethereum's scalability strategy, which aims to increase network performance and ensure scalability.

이더리움 확장성 솔루션, 댕크샤딩 (Danksharding)은 무엇일까? #1

댕크샤딩(Danksharding)은 이더리움 네트워크의 샤딩 기술을 개선한 것으로, 이더리움 2.0 업그레이드에서 채택된 기술 중 하나입니다. 댕크샤딩은 이더리움의 트랜잭션 처리량을 크게 향상시키고, 수수료를 낮추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람다256, 체인링크와 채널 파트너십 체결.. 웹3 생태계 확장

람다256(대표 박재현)이 글로벌 블록체인 네트워크 체인링크를 운영하는 체인링크 랩스(Chainlink Labs)와 채널 파트너십을 체결했습니다.  람다256은 체인링크의 탈중앙화 오라클 네트워크 솔루션을 통해 자사 블록체인 서비스의 기술력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체인링크는 분산금융(DeFi), 보험, 게임,